85. 일목균형차트 활용 - 나스닥 트레이딩 9월28일~29일(추석연휴)
1. 나스닥 5분봉 27일~28일
83번~84번 글에서 왼쪽 첫번째 파란색 박스에서 매도 진입, 분홍색 박스에서 매도수익청산.
그리고 분할로 3회 매수 진입, 특히 마지막 빨간박스에서 대량 매수 진입, 3차로 나누어서 분할 매수수익청산
그리고 두번째 파란박스에서 매도 진입한 7개 홀딩하고 잤다고 했다.
매도분 7개의 명확한 1차 매도목표가 14697(분홍박스), 2차 매도 목표가 14627(가장 밑 분홍박스)
1차 매도 목표가 도달하여 50% 청산하고, 2차 매도 목표가 도달하길 기달렸으나 안찍었다.
그리고 다시 반등 시작하여 파란색 저항선 오면 또 매도 치겠다고 기다리고 있던 부분에 왔다.
세번째 파란박스에서 추가로 또 매도 진입했다.
헐~~~~ 튀어 오르네..
원칙대로 손절해야 했으나.. 여러번 이야기 했지만... 난 매수진입시엔 손절 칼같이 지키지만
매도 진입시엔 웬간해선 손절 안 준다고 했다. (지난글 참조)
원칙대로라면 빨간색 동그라미 X표시한 곳이 파란저항선 양봉으로 돌파한 곳이다.
손절했어야 했다.
그러나 나는 마지막 윗쪽 파란색 박스에서 또 추가로 매도 진입했다.
돌파했던 파란색 저항선은 이제 지지선으로 바뀐것이다.
왜? 저항선이 돌파 되었으면 이제 거기는 더 이상 저항선이 아니라 지지선이 된다.
한번 돌파했던 저항선은 다시 한번은 눌러준다.
분홍색 박스구간으로 다시 눌러줬을때 매도분 올 청산하고 수익 내고 빠져 나왔다.
맨 윗쪽의 파란박스 그리고 파란색 저항선은 감으로 그은 것이 아니다.
5분봉상 단기 저항선 이다. 일목균형표의 기준선과 전환선을 이해 한다면 잡을 수 있는 저항선 이다.
그래서 매도분 쫌 물려 있는 것을 거기서 추가 매도 쳐서 다시 눌러줄때 수익내고 싹 빠져나온 것이다.
2. 나스닥 5분봉 기준선/전환선
세번째 파란색 박스에서 다시 또 매도 들어갔으나 양봉으로 돌파되면서 물렸다.
그러나 네번째 가장 위 파란 박스에서 추가 매도 들어가서 돌파된 파란실선 저항선으로 다시 눌러줄때.
이제 과거 저항선은 현재 지지선으로 바뀐것이다.
그러니 거기까지 눌러 줄때 싹 빠져나와야 한다.
일목균형표의 기준선(검정색선), 저항선(빨간색선) 은 매우 매우 중요하다.
내글 "일목균형표 설정" 에서도 반드시 위 색대로 지정해서 셋팅해야 한다고 했다.
왼쪽 빨간색 동그라미 표시 부근. 초록색 사선으로 표시한곳
5분봉상 기준선,전환선이 겹쳐 있고 전환선이 위로 꼭짓점 형태로 있다.
여기 한번은 반드시 저항을 맞는 곳이다.
그러니 마지막 네번째 파란박스 부근은 강력한 저항대 이며 거기서 추가 매도 진입하여 세번째 파란박스 진입 물린 것을 오히려 수익내고 빠져 나온 것이다.
3. 수익계좌 공개
추석 전날 트레이딩으로 1300만원 벌었으면 만족한다.
이쁜이들 추석 선물 사주면 되겠다.
4. 9월29일 나스닥 5분봉
9월29일 추석날엔 트레이딩 안했다.
베트남은 "쭝투"라는 추석 명절이 있지만 휴일은 아니라고 했다.
그래도 금요일이 쭝투(추석)이니 파티는 여러곳에서 열린다.
놀아야지~ 추석날 밤에 컴퓨터 앞에 앉아서 매매할 일 있남?
오늘 30일 토요일에 지나간 29일 금요일 밤 차트를 봤다.
참나... 일목균형표는 절대 우리를 속이지 않는다.
왼쪽 첫째 파란박스, 두번째 파란박스는 28일에 실매매한 박스다.
매도분 올청산 하고
지금부터 썰은...
만약 내가 29일 추석에도 트레이딩을 했었다면 이렇게 했을 것이다 라고 아쉬워서 적는 글이다.
저항선이 돌파되면 지지선으로 바뀐다고 윗글에서 설명했다.
아래 파란 실선이 X표시한 양봉으로 돌파되면서 이제 그 선은 더 이상 저항선이 아니라 거꾸로 지지선이 된 것이다. 따라서 만약 29일에도 트레이딩을 했다면
나는 빨간박스에서 매수 진입했을 것이다. 또한 두번째 빨간박스는 5분 단기 저항선이 뚫는 곳으로 그곳에서 불타기 추가 매수 했을 것이다. 매수 목표는 내가 추가 매도 진입했던 윗쪽 파란실선 부근.
5. 9월29일 5분봉 확대
그리고 29일의 히어로는 마지막 가장 높은 곳의 파란박스 매도였다. 15050~15060
그 매도의 매도 목표가는 14833!!! 저 매도 한번으로 870틱 매도 수익을 볼 수 있었다.
매도 목표가 14833은 25틱, 35틱 차트에 발생했었다. 명확한 매도 목표가가 저~~~ 밑에 발생했다.
내가 그어 놓은 파란사선(저항선)이 보이는가? 또한 빨간사선(지지선)이 보이는가?
파란사선(저항선) 도달한 윗 파란박스에서는 집팔아서 매도 진입해야 하며!
빨간사선(지지선)이 깨지고 나선 다시 반등하면서 이젠 지지선이 저항선으로 바뀐 빨간사선으로 붙을때
추가 불타기 매도 진입해야 한다.
매도 목표가는 동일하다 저~ 저~ 밑에 14833!!! 분홍박스 구간이 매도 목표가인 것이다.
6. 나스닥 30분봉
나는 지난주 부터 계속 외쳐댔다
매수 목표가 15350이 살아 있다. 거기까지 다시 반등 할 것이고 나는 매수로 대응할 것이다고.
빨간박스가 이번주 하락 파동에서 매수로 대응하면서 수익낸 구간들 이다.
그리고 파란박스가 매도로 대응하여 수익낸 구간이다.
마지막 파란박스가 만약 29일 추석날 밤에 트레이딩을 했다면 집팔아서 매도 들어가야 할 곳이었다.
30분봉을 보니까 보이는가? 왜 저기가 매도 구간인지?
빨간사선(지지선)이 깨지지 않는다면
이제 나스닥은 눌러 주다가 반등하고 ~ 눌러 주는척 하다 다시 전고점 높이면서 더 반등하고~
이렇게 15350을 찍으러 갈 것이다.
그러나 빨간사선(지지선)이 깨진다면 검정색(화살표) 표시한 것 처럼 다시 9월27일의 저점대인 14630~14600까지 빠질 것이다. 그러면 나는 땡큐하고 그곳에서 매수로 싸울 것이다. 쌍바닥 찍으러 한번 다시 내려와야 될것 같은데....... 쌍바닥 찍고 올라가야 진짜 매수 파동인데.... 아님말고~ 나스닥아 니 하고 싶은대로 해라~
난 니 하고 싶은 대로 하는 파동을 잠시 이용해서 먹고 튈련다.
아무튼 현재 나스닥은 30분봉으로 봤을때 파란실선(저항선)과 빨간실선(지지선) 사이를 오가면서 반등을 하고 있다.
우리는 이 나스닥 놈이 위~ 아래~ 위~~ 아래 하는 구간에서 매수건 매도건 잘 빼먹고 튀면 그만이다.
27일에 가장 밑바닥에서 잘 잡은 매수분 20개를 1개도 남기지 않고 싹다 청산 한 이유는
이것을 15350 최종 매수 목표가까지 들고가기엔 진이 빠진다. 그 와중에 좋은 매도 기회를 계속 놓칠 것이다.
그리고 나는 태생적으로 매수를 싫어한다. 나는 매도인이다. 매도가 더 좋다.
그래서 위로 15350까지 있다는 것을 염두해 두지만, 그러나 주로 매도로 대응할 것이다.
어차피 나스닥 이놈이 현재 자리에서 빵~~ 하고 불기둥 세우면서 한방에 1850틱을 날아가긴 힘들 것이다.
위 30분봉 차트를 보면 위 아래로 지지선 저항선을 치고 댕긴다.
따라서 나는 매수건 매도건 일목균형표가 알려주는 만큼만, 차트가 미리 일러주는 만큼만,
편견을 버리고 시장이 주는 대로 대응할 것이다.
파생판은 대응이다! 편견없이 시장 흐름에 따라 대응하는 자만이 살아 남는다.
시장에 맞서는자.. 편견, 고집에 사로잡힌 트레이더는 퇴출 되는 곳이 파생판이다.
ilmokdosa@gmail.com